톡한방 소식

​[한방정보] 전신 질환 유발할 수 있는 턱관절 장애, 조기 치료가 중요

2021.03.05

​[한방정보] 전신 질환 유발할 수 있는 턱관절 장애, 조기 치료가 중요 병원장 이미지

김해당당한방병원 이지은 원장

 

평소 턱에서 ‘딱’ 소리가 나는 사람들이 있다. 이는 턱관절 이상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이며 당장 통증이 없다고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턱관절 장애는 턱 뿐만 아니라 전신에서 증상이 생길 수 있어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턱관절 장애란 턱관절이 제대로 움직이지 못하고 관절에 마모가 일어나면서 입이 잘 벌어지지 않고 턱 주위에 통증이 나타나게 되는 질환을 말한다. 이는 턱관절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하는 디스크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거나 닳게 됐을 때 나타난다.

 

턱관절 장애의 원인은 턱의 좌우 균형이 무너지거나 외상, 스트레스, 교통사고 후유증 등이 있다. 또한, 한쪽으로만 음식을 씹거나 턱을 괴는 습관, 목을 쭉 빼는 습관, 한쪽으로 기울어진 자세 등 무의식적인 생활습관으로 인해 증상이 발현될 수 있으며, 몸 전체 파급으로 인해 전신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턱관절은 뇌신경 12개 중 9개가 지나가는 곳이며 중추신경계를 좌우하는 중요한 관절이다. 또한, 전신 척추를 좌우하는 경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턱관절이 틀어진다면 두개골과 안면, 뇌와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경추를 포함한 척추, 골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처럼 턱에 직접적인 문제가 없더라도 골반이 틀어지거나 어깨 비대칭, 목·허리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해 봐야 한다. 또한, 편두통이 오거나 만성비염, 만성피로, 눈 충혈 및 건조, 소화 장애, 척추질환, 생리불순, 생리통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턱관절 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 턱관절 주변부에 밀집한 뇌신경들이 다양하며 턱관절 장애로 인해 부정렬 증후군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턱관절 장애가 심하면 호르몬 관련 질환, 대사성 질환, 면역질환, 운동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특히 턱의 통증 치료뿐만 아니라 체형 불균형을 개선하는 등 질병의 원인이 되는 몸의 구조적인 문제를 바로잡는 게 중요하다.

 

FCST 턱관절 치료를 통해 뇌신경계와 체형 불균형 문제를 바로 잡고 부가적으로 침 치료, 약침치료, 추나요법, 도수치료 등 비수술적 한방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침 치료와 약침치료는 턱 주변의 근육 긴장을 완화하고 염증을 치료하여 턱관절 통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추나요법은 턱 주변의 신경과 혈관 림프계의 압박을 풀어 통증과 저림을 완화할 수 있다.

 

김해당당한방병원 이지은 원장은 ‘FCST 턱관절 치료가 생소할 수 있지만, 턱관절 장애는 부정렬 증후군을 유발할 가능성이 커 해당 치료를 통해 그 원인을 바로잡는 게 중요하다’ 라며, ‘턱관절 장애를 인지했을 때는 증상이 심한 경우가 많으니 조금이라도 불편감을 느낀다면 가까운 병원을 찾아 진료받는 게 좋다’고 전했다.

 

이상윤 기자 nurumi@busan.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