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한방 소식

[한방정보] 극심한 허리 통증이 있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야

2021.07.27

[한방정보] 극심한 허리 통증이 있다면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야 병원장 이미지

최근 현대인들은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구부정한 자세가 지속되면서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경우 허리디스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극심한 허리 통증이 발생한 경우에는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척추관협착증은 허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퇴행성적인 변화들로 인해 척추 주변에 있는 인대들과 근육 그리고 뼈와 관절들이 점차적으로 비대해지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관이라고 하는 부위가 좁아지게 돼 척추에 있는 신경들을 눌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척추관협착증은 발병 원인에 따라 선천성/발육성 협착증과 후천성/퇴행성 협착증으로 나눌 수 있다. 선천성/발육성 협착증은 태어날 때부터 척추관이 좁은 경우이며 후천성/퇴행성 협착증은 나이가 들면서 관절이나 인대가 비대해지고 불필요한 뼈가 자라 척추관을 누르면서 발생하는 경우이다. 선천성/발육성 협착증은 평소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작은 디스크만 튀어나와도 통증을 느끼며, 후천성/퇴행성 협착증은 대부분 잘못된 자세와 습관 등이 장기화되면서 발병한다.

 

척추관협착증은 구부정한 걸음걸이가 대표적인 증상이며, 중심을 잡기 힘들고 가만히 있어도 허기가 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앉아있을 때 허리와 다리 통증이 더욱 심해질 때도 척추관협착증을 의심해볼 수 있다. 문제는 허리가 아프고 다리가 저리는 증상이 허리디스크와 비슷해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하지만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나타나고 허리를 펴면 통증이 완화되는 허리디스크와 반대로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약해지고 허리를 펴면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이 두 질환의 차이다.

 

척추관협착증은 시간이 지체될수록 치료가 어렵고 치료 기간도 길어지기 때문에 의심되는 증상이 나타난다면 초기에 정밀검사를 통해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제세한의원 하한출 원장은 “척추관협착증은 침 치료, 한약 치료 등과 같은 한방치료를 통해 통증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같은 증상이라고 하더라도 본인 체질에 따라 침을 놓는 위치나 효과적인 한약재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사전 정확한 체질 판별을 바탕으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척추관협착증을 예방하기 위해 평소 자리에 앉을 때는 기대어 낮거나 다리를 꼬는 자세보다는 엉덩이를 의자 깊숙이 넣고 허리를 등받이에 붙이는 자세를 유지해야하며, 꾸준한 스트레칭을 통해 허리의 근육을 강화시켜주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도움말-제세한의원 하한출 원장.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