톡한방 소식

[한방정보] 안면신경마비 구안와사, 중풍의 얼굴마비 증상과 구분 필요

2021.09.30

[한방정보] 안면신경마비 구안와사, 중풍의 얼굴마비 증상과 구분 필요 병원장 이미지


 

최근 안면떨림과 얼굴마비 증상으로 한의원이나 병원을 찾는 환자의 수가 늘고 있다. 고 연령층 환자 외에 면역력이 떨어진 학생이나 직장인, 출산 전후의 여성 환자 수도 증가했다. 안면마비는 얼굴 신경에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는 경우, 대상포진이나 감기를 심하게 앓고 난 후 체력이 떨어진 상태에서 바이러스가 침범한 경우 발생할 수 있으며 과로와 스트레스, 추운 날씨가 원인이 되기도 한다.

 

입과 눈 주변 근육이 마비되어 한쪽으로 비뚤어지는 말초성 안면마비를 구안와사라고 하는데, 중풍의 얼굴마비 증상과 반드시 구분이 필요하다. 중풍과 뇌졸중은 뇌혈관 장애에 의한 중추성 안면마비이며, 구안와사와 구분할 수 있는 증상으로는 마비된 이마에도 주름은 잡을 수 있다는 것과 얼굴에 마비가 나타나는 부위와 같은 쪽 신체에 마비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구안와사는 마비된 쪽의 이마에 주름을 잡을 수 없고 눈이 감기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한방내과전문의 윤용재 원장은 “안면마비는 치료 시기가 매우 중요하므로 증상이 심해지기 전 담당 의사의 의학적 진단과 검사가 반드시 필요하다. 안면 경련이나 안면근육이 굳어지고 둔한 느낌의 전조증상이 있다면 지체 없이 진단시스템을 갖춘 병원을 찾는 것이 효과적이다.”고 전했다. 이어 얼굴이 삐뚤어진 상태가 지속되는 후유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빠른 진단과 초기 2주간의 치료를 특별히 강조했다.

 

대연더존한방병원에서는 절대 안정이 필요한 구안와사 급성 진행기 환자의 빠른 회복을 위해 입원집중치료를 진행하고 있다. 마비된 부위의 기혈을 순환시키는 침·약침 치료, 얼굴 신경 감각을 되살려주는 안면도수치료, 맞춤 한약 처방, 치료 효과를 극대화시켜주는 재활·도수치료 등을 제공하고 있다. 

 

도움말 : 대연더존한방병원 윤용재 원장​ 

0개의 댓글